문화예술사교육사의 정의와 필요성, 어떤 곳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 파헤쳐보도록 하겠습니다!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은 무엇인가?
"문화예술교육사"란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예술교육사의 교육기관에서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으로부터 문화예술교육사 국가자격을 취득한 자를 뜻하며, 문화예술교육 관련 교원 외에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기획, 진행, 분석, 평가 및 교수 등의 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사람으로서 법에 따라 자격이 부여된 사람을 말합니다.
문화예술사자격증은 총 1급, 2급 두 개로 나눠지며 등급에 따라 업무가 달라집니다.
문화예술사자격증 1급
수준 높은 교수활동과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 기획 및 관리 활동 - 박물관, 공연장 등 공공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관리자
문화예술사자격증 2급
민관 영역 현장강사 및 기초적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운영 - 학교, 주민센터 등의 교육강사
연기&뮤지컬 전공자에게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필요한 이유
문화예술교육사는 음악, 미술, 영화, 연극, 무용, 국악, 사진, 디자인 등 다양한 예술분야에서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데 필자는 연기전공이자 연극분야 자격증을 취득하였기 때문에 연극분야를 가지고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1. 교육 역량을 강화 시킵니다.
전문적인 교육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습득하여 자신의 예술적 지식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2.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능력을 향상됩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직접 기획하고 운영함으로써 대상과 분야에 맞게 기획할 수 있는 능력이 저절로 향상됩니다.
3. 취업의 기회가 많아집니다.
문화센터, 학교, 공연장 등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강사로써 활동할 수 있는 자격이 생기게 됩니다.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활용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따게 되면 다양한 기관에서 문화예술교육을 관련된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공공기관 및 문화예술기관
- 문화예술회관, 박물관, 미술관, 도서관 : 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지역문화재단 :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및 지원 사업 운영
- 예술 관련 공공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국립극장 등
복지 및 커뮤니티기관
- 노인복지센터, 장애인 복지시설 : 문화예술교육 및 치료 프로그램 운영
- 청소년문화의 집, 지역아동센터 : 청소년 및 아동 대상 예술교육
교육기관
- 초, 중, 고등학교 방과후학교 및 자유학기제 강사
- 대학교 평생교육원, 문화센터 강사
- 문화예술 중점학교 및 예술고등학교 특강 강사
예술단체 및 개인 활동
- 극단, 연극, 뮤지컬 아카데미에서 강의 및 워크숍 진행
- 프리랜서 문화예술교육사로 활동하며 다양한 기관과 협업
오늘은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예술을 전공하는 분들에게 교육자로서의 역량을 강화시켜 주고, 다양한 분야와 기관에서 활동 기회를 넓혀주는 중요한 자격증입니다.
자신의 예술적 감각과 재능을 교육분야에서 더욱 발전시키고자 하는 분들이 계시다면 이 자격증을 취득해 보시는 건 어떠실까요?
다음에는 자격증 취득 후기와 취득방법, 취득과정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